법률사회

깡통전세 주의지역 확인법|전세사기 예방을 통한 보증금 보호 필수

bizafter6 2025. 7. 27. 14:35
반응형

목차


“요즘 전세 들어가는 게 제일 무섭다”는 말, 절대 남 일 아닙니다.
부동산 시세는 하락하는데 전세가는 그대로인 지역이 많아지며, 깡통전세로 인한 보증금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신축 빌라, 분양형 도시형주택, 원룸 다세대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요.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하기 내용을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깡통전세의 정의부터
  • 주의해야 할 지역의 특징
  • 실제로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지

본문 꼭 확인하셔서 복잡하게 느껴지던 깡통전세 확인법과 더불어
딱 3곳만 체크하면 위험지역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간단한 확인 루틴을 알아보세요!

✅  깡통전세란 무엇일까요?

깡통전세란 매매가보다 전세금이 높은 상태 또는 매매가와 비슷해 경매 시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 매매가 2억 원 / 전세가 1.9억 원 → 위험
  • 특히 신축 빌라나 도시형 생활주택, 다세대 주택에서 빈번하게 발생

✨ TIP: 깡통전세 피해는 ‘보증금’을 전혀 못 돌려받거나 일부만 받는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깡통전세를 포함하여 다양한 전세사기 유형이 궁금하시면 참고 하세요!

깡통전세

✅ 깡통전세 주의지역,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깡통전세는 특정한 지역적, 환경적 공통점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단순히 신축이라는 이유만으로 방심하기 쉬운 만큼, 아래 특징이 겹친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90% 이상

전세가율(전세금 ÷ 매매가)이 85% 이상이면 이미 고위험군입니다.
전세가율이 90%를 넘는 경우, 집값이 조금만 하락해도 세입자의 보증금이 위험해집니다.

 

✨ 예시 지역

  • 서울 외곽 신축 빌라
  • 경기 시흥·의정부·동두천
  • 인천 미추홀구·부평구

✨ 확인 방법

  • 네이버부동산 또는 KB부동산 앱에서 매매가/전세가 비교
  • 거래량 적은 신축 빌라는 유사 매물끼리 비교 필요

2. 개발 호재 지역 주변

"XX역 생긴대요!", "근처에 곧 GTX 들어올 예정이래요!"
이처럼 개발 이슈만 있는 지역은 중개사나 컨설팅업자가 전세가를 부풀리기 쉬운 환경입니다.

문제는 정작 실제 개발은 수년 뒤거나 계획 변경/지연될 가능성도 높다는 점입니다.

 

✨ 주의 지역 예시

  • 광명 시흥지구 (신축 빌라 다수 공급)
  • 검단 신도시 (공급 과잉 + 개발 지연 이슈)
  • 동탄2신도시 외곽

✨체크 포인트

  • 국토교통부 ‘개발계획 고시 여부’ 확인
  • ‘언론 기사만으로 기대하지 말 것’ → 주의

3. 전세 거래가 급증한 지역

갑자기 특정 동네에 전세 계약이 몰리는 현상은 중개업소·컨설팅 업체가 인위적으로 수요를 조작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런 패턴의 공통점

  • "신축 빌라인데 보증금 5천만 원만 있으면 입주 가능"
  •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대상 추천"
  • 몇 주 간격으로 같은 건물 내 다수 세입자 입주

확인 방법

  •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주소 검색 후 최근 거래 추이 확인
  • 짧은 기간에 10건 이상 같은 건물 계약 시 의심 필요

✅ 깡통전세 확인법 3단계

항목 설명
등기부등본 확인 소유자가 실제 집주인인지 확인하고, 근저당·가압류·경매기록 등 채권 관계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갑구와 을구는 반드시 살펴보세요.
건죽대장물 확인 겉보기엔 멀쩡해도 불법 증축, 무허가 건축물이면 보증금 보호를 받기 어렵습니다. 특히 신축 빌라는 필수 체크 항목입니다.
주변 실거래가/시세 비교 시세보다 전세금이 유독 높은 매물은 사기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KB부동산, 네이버부동산 등에서 인근 유사 매물 비교가 기본입니다.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여부 확인 사고 발생 시에도 보증금을 일정 부분 돌려받을 수 있는 유일한 안전장치입니다. HUG 보증 가입 여부는 HUG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등기부등본에서 세부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잘 모르시는 경우, 참고할만한 내용입니다!

 

✅ 깡통전세 주의 지역, 어디일까?

깡통전세 경고가 자주 나오는 대표 지역은 하기와 같습니다.

  • 서울: 강서구, 구로구, 중랑구, 금천구 일대 신축 빌라
  • 경기: 시흥, 광명, 의정부, 부천, 동두천
  • 인천: 서구, 미추홀구, 부평구
  • 대전: 중구, 동구
  • 부산: 사하구, 북구

✨ 공통점

  • 역세권이 아닌 준공 5년 미만 신축 빌라
  • 집값 대비 전세가가 지나치게 높음

✅ 전세 계약 전에, 반드시 '깡통전세'부터 점검하세요

전세는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내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생존의 문제입니다.
계약서에 도장을 찍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은 ‘방이 몇 개냐’, ‘언제 입주 가능하냐’보다 이 집이 깡통전세인지 아닌지입니다.

  • 집값보다 전세금이 높지는 않은지
  • 등기부등본에 근저당은 없는지
  • 건축물대장은 적법한지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HUG)에 가입 가능한 매물인지

이 4가지 점검만 잘해도 전세사기 피해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을 한눈에 보고 싶다면 하기 내용에 구체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니 실제 계약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반응형